Surprise Me!

[아는기자]서울 부동산 불장, 언제까지 이어지나?

2025-06-26 1,066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로, 서울 부동산 시장 자세하게 더 알아보겠습니다. <br> <br>경제산업부 조현선 차장입니다. <br> <br>[질문1] 부동산 불장이, 서울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면서요? <br><br>네 그렇습니다. <br> <br>서울의 현재 불장 흐름을 보면 이렇습니다. <br> <br>지난 2월 토지거래 허가구역을 일부 해제했을 때 강남 3구 집값이 가파르게 올랐죠. <br> <br>그래서 토허제로 다시 묶으니까, 풍선 효과가 커지면서 가격 상승이 한강벨트로 빠르게 번졌습니다. <br> <br>이제는 마포, 용산, 성동 이른바 '마용성'을 넘어 노원 도봉 강북 등 '노도강' 지역까지 상승세가 확산됐는데요. <br> <br>일부 지역이긴 하지만 서울과 인접한 경기도까지 뜨거워졌습니다.<br> <br>[질문1-1] 경기도에서도 최고가 경신했다면서요? <br><br>네, 성남 분당구에 있는 한 아파트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. <br> <br>전용면적 171제곱미터짜리가 지난 14일 40억 원에 거래됐는데요. <br> <br>지난 5월에 찍은 최고가보다도 2억 원이 넘게 올랐습니다.<br><br>매매가로 환산해보니까 분당에서도 처음으로 3.3제곱미터당 1억 원에 육박해진 겁니다.<br> <br>[질문2] 말 그대로 불장인데 왜 이렇게 오르는거에요? <br><br>다수의 전문가에게 물어보니 공통적인 이유로 '심리적 요인'을 꼽았습니다. <br> <br>"지금이 제일 싸대" "지금 안 사면 나만 집이 없어" 계속되는 최고가에 오르는 지역은 제한돼 있고, 공급은 적다보니 마음이 불안해지는거죠.<br> <br>거기에 정권이 바뀔 때마다 집값이 오른다는 경험치가 더해진건데요. <br> <br>역대 정권 때를 보니까 문재인 정부가 가장 높고 그다음은 노무현 정부였습니다.<br> <br>[질문3] 심리를 안정시키지 못하는 이유는 뭔가요? <br><br>시장이 안정을 찾기 위해선 집값 상승 기대감을 잡아야 하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기준금리 인하로 유동성이 풍부한데다 서울 아파트 공급 부족이 예상되니까 좀처럼 심리가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실제로 1년 뒤 집값 상승을 점치는 주택가격전망은 44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습니다.<br> <br>[질문4] 그럼 언제까지 이 불장 이어지는걸까요? <br><br>제가 부동산 전문가들에게 물어보니까 일단 하반기까지는 최고가 경신이 계속 나올거란 게 지배적입니다. <br> <br>다만 정부의 첫 번째 부동산 대책이 나오면 서너 달은 잠시 주춤할거란 의견도 있었고요. <br> <br>하지만 이재명 대통령이 밝힌 공급 대책 만으로는 집값 잡기가 쉽지 않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일반적으로 착공부터 입주까지 3년 정도 시차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.<br> <br>[질문5] 단기간에 효과를 볼 수 있는 대책도 필요하겠군요. <br><br>네, 앞서 리포트에서 보신 것처럼 정부가 공급 대책 발표에 앞서 추가 대출 규제를 고민하는 것도 바로 이 때문입니다. <br> <br>전문가들 역시 가장 빠르게 집값을 안정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 '대출 규제'를 꼽고 있는데요. <br> <br>한국은행은 최근 "정책대출이 DSR 규제 적용대상에서 제외돼 가계부채 관리에 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"면서 정책대출 규제까지 거론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부동산 대책을 준비 중인 정부의 고민도 깊을 수 밖에 없는게요. <br> <br>문재인 정부 당시 스무 번 넘게 부동산 정책을 내놓았는데도 결국 집값을 잡지 못했잖아요. <br> <br>이재명 정부가 불붙은 부동산 시장을 어떻게 안정시킬지, 시험대에 올랐습니다.<br> <br>지금까지 경제산업부 조현선 차장이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조현선 기자 chs0721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